본문으로 서브메뉴로

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
내일의 변화는 당신의 이야기로 부터

2015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 결과(인구이동, 통근·통학, 활동제약)

< 2015 인구주택총조사 표본 집계 결과(인구이동, 통근·통학, 활동제약) 요약 > 1. 인구이동 ○ 2015. 11. 1. 현재 전체 인구 중 서울에서 태어난 인구의 비율은 16.2%로 가장 높으며, 경기(12.9%), 경북(9.1%) 순임 ○ 출생지(태어난 시군구)에 거주하는 비율은 제주(68.9%)가 가장 높고, 경기(26.4%)가 가장 낮음 ○ 5년 전(2010. 11. 1.) 거주지 기준, 시군구 경계를 벗어난 5세 이상 인구의 이동률은 16.4%로 2010년(18.9%)에 비해 2.5%p 감소함 - 순유출 인구가 가장 많은 시도는 서울(57만1천명)이며, 순유입 인구가 가장 많은 시도는 경기(34만3천명)임 ○ 1년 전(2014. 11. 1.) 거주지 기준, 시군구 경계를 벗어난 1세 이상 인구의 이동률은 5.6%로 2010년(6.5%)에 비해 1.0%p 감소함 - 순유출 인구가 가장 많은 시도는 서울(16만5천명)이며, 순유입 인구가 가장 많은 시도는 경기(7만4천명)임 ○ 5년 전 거주지를 기준으로 수도권으로 전입한 인구는 238만7천명, 수도권에서 전출한 인구는 255만명으로 순유출인구는 16만3천명임 - 수도권 전출인구의 경우 성별은 남자(51.6%), 연령은 30대(28.4%), 교육정도는 대학교(37.0%)의 비율이 높게 나타남 ○ 5년 전 거주지 기준으로 세종시로 전입한 인구는 10만7천명, 세종시에서 전출한 인구는 1만2천명으로 순유입인구는 9만5천명임 - 수도권에서의 순유입은 3만7천명, 대전·충청권에서의 순유입은 4만5천명임 2. 통근·통학 ○ 2015. 11. 1. 현재 우리나라의 통근·통학 인구는 12세 이상 인구의 66.7%인 2,935만8천명으로 통근률은 53.4%(2,350만명)이며, 통학률은 13.3%(585만8천명)임 - 거주지 시군구 내 통근·통학은 2010년(65.3%)에 비해 0.5%p 감소하였으며, 시군구 외 통근·통학은 2010년(34.2%)에 비해 0.9%p 증가하였음 ○ 수도권의 통근·통학 인구는 1,442만4천명으로, 이 중 동일 시도 내 통근·통학인구는 1,189만7천명임 - 시도 간 통근·통학 인구는 252만7천명이며, 이 중 경기에서 서울로 통근·통학하는 인구가 127만7천명으로 가장 많음 ○ 통근·통학인구 중 92.4%(2,714만5천명)는 통근·통학에 단일교통수단을 이용하고, 7.6%(223만3천명)는 복합교통수단을 이용하고 있으며, 이용교통수단으로는 승용차(37.4%), 걸어서(24.3%), 시내버스(13.6%) 순임 ○ 통근·통학 평균 소요시간은 30.9분으로 2010년(29.2분)에 비해 1.7분 증가하였으며, 소요시간이 가장 긴 지역은 서울(39.3분)이고, 가장 짧은 지역은 전남(19.2분)임 - 이용교통수단별 통근·통학 평균 소요시간의 경우 걸어서는 14.4분, 승용차는 29.1분, 시내버스는 35.9분, 전철·지하철은 53.9분임 ○ 주간인구지수가 가장 높은 시군구는 서울 중구(372.8), 서울 종로구(265.7), 부산 중구(195.4) 순이며, 주간인구지수가 가장 낮은 시군구는 서울 은평구(74.6), 부산 북구(76.3), 서울 도봉구(77.4) 순으로 나타남 참고) 주간인구지수 = (상주인구 + 유입인구 - 유출인구) / 상주인구 × 100 3. 활동제약 ○ 5세 이상 인구 중 활동제약 인구의 비율은 7.2%(339만5천명)로 여자가 201만4천명, 남자는 138만1천명으로 여자가 63만3천명 더 많음 - 70세 이상 인구의 활동제약 인구 비율이 39.0%(173만2천명)로 가장 높게 나타남 ○ 5세 이상 인구 중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제약 인구의 비율은 4.4%(206만3천명)로 여자가 127만2천명, 남자는 79만1천명으로 여자가 48만2천명 더 많음 - 70세 이상 인구의 일상생활 및 사회활동 제약 인구 비율이 26.9%(119만6천명)로 가장 높게 나타남 ※ 위 자료는 2015년 11월 1일 0시 현재를 기준으로 전국의 20% 표본가구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로 일반가구원 및 집단(시설)가구원은 포함되고 특별조사구와 외국인가구는 제외된 결과임 기타 자세한 사항은 첨부파일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